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기획 사이드 프로젝트9

정부지원으로 앱개발하는 것보다 중요한 것은? 예전에 작성한 '정부지원 앱개발 프로젝트' 포스팅이 인기가 있어, 해당 프로젝트를 복기해보는 포스팅을 써보려고 합니다. https://santiago-vibe.tistory.com/28 [사이드 프로젝트 앱개발, 정부지원 창업 사업계획서 작성법] 2021년 한국콘텐츠진흥원 팩토리랩 1. [나의 첫 사이드 프로젝트] •2021년 회사를 다니면서 퇴근 후 시간, 주말을 이용 •처음으로 정부지원 프로그램(한국콘텐츠진흥원 팩토리랩)에 참여 •500만원의 지원금으로 MVP버전의 앱을 개 santiago-vibe.tistory.com 간단히 저는 네이버의 케이크앱 같은 유튜브 영상 기반의 한국어 공부앱을 MVP버전으로 개발했는데요. 사실 지원받은 500만원은 제가 기획했던 앱을 개발하기엔 많이 적은 금액이었습니다... 2023. 9. 6.
프라이머 스텔스창업 2023 서비스 기획서 (MVP 버전) : 탈락 지원서는 작성완료하였고, 서비스에 대한 설명을 보완할 수 있게 블로그를 통해 링크를 제공했다. ​ 이틀만에 아주 간단하게 피그마로 필요한 기능만 기획하여 기획서를 만들었다. ​ 신경정신과 병원 상담진료 가이드, 챗봇 마몽이 ​ // 8월 20일인 현재 연락은 없었따. 이래서 결과는 탈락! 하지만 실망은 없다. 다른걸 도전해보자. ​ 2023. 9. 5.
가을 독서 소개팅 인원 모집 (남녀 각각 2명씩), 외로운 1인가구, 솔로, 고독, 가을, 만남, 소통, 데이트, 독서만남 2022. 9. 27.
[사이드 프로젝트 3] 피그마로 앱기획하기 '약국약 찾기 앱' 1. 기획배경 나는 약사님이신 이모 약국에서 약 8년정도 주말마다 아르바이트를 했다. 학생때부터 아르바이트를 했어서 취업준비생때에는 약학정보원에 합격한적도 있다. 물론 취업은 하지 않았다. 최근 사이드 프로젝트로 앱 기획을 하면서 약국과 관련된 서비스를 기획해보고 싶었다. 2. Pain point • 약국을 방문하는 고객들이 주로 불편하는 점은 두가지가 있다. • 첫번째, 처방약을 먹는 시간을 체크해야하는 점 ( 이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이미 앱이 있다.) • 이러한 약먹을 시간을 알려주는 앱은 사용자수도 많고 사용성도 매우 좋다. 2-1. Pain point 정립 • 이미 많은 앱들이 있어 나는 약을 사러 오는 고객들의 Pain point로 정했고 기획하게 되었다. • 약을 사러오는 고객들은 약 포.. 2022. 3. 31.
[사이드 프로젝트 2] 무료심리상담 정보 사이트 및 토론 카페 만들기 ep2 1. 아이디어 구현 • 시장조사를 바탕으로 얻은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아이디어를 3가지로 정리 • 키워드는 소통, 무료상담, 유료 비대면 상담 • 하지만 유료 비대면 상담의 경우,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비대면 그룹 심리상담 프로그램들과 겹치는 경우가 많음 ⇨ 때문에 무료심리상담 및 콘텐츠 기반의 토론 커뮤니티를 만들어보려고 함 ⇨ 수익구조는 아이디어이긴 하지만 무료심리상담 공공기관 및 단체의 광고수익을 기대 ⇨ 또한 소통기반 토론 커뮤니티를 유료로 전환하여 진행해보고자 함 (시니어, 청년, 아이들로 나누어 운영) 여기서 중요한건 아직 아이디어 단계이기 때문에 수익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먼저 커뮤니티를 활성화해야 할 것 같다. 때문에 네이버 카페도 개설하여 운영해보기로 하였다. 2. 사이트 개설 • 사이트 개설.. 2022. 3. 25.
[사이드 프로젝트 2] 무료심리상담 정보 사이트 및 토론 카페 만들기 이번 사이드 프로젝트는 2022년 비대면 스타트업 육성사업 프로그램에 지원해보기로 정하였다. 1. 시장조사 오프라인 상담센터에서 상담을 받으려면 대략 시간당 5~10만원 정도의 금액이 든다. 이 가격대는 지속적인 상담을 받기에는 부담이 되는 가격대라고 생각되어(Pain point), 비대면 화상 그룹 상담을 운영한다면 1인당 지불하는 가격을 낮출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여 사이트를 만들기로 했다. 우선 사이트를 만들기 전 시장조사를 실시하였다. 1) 국내 정신질환 관련 시장현황 정신과에서도 상담 시간을 길게 진행해달라고 국가에서 수가도 높여줬지만 환자들은 상담시간이 길어졌다고 느끼지 못하고 있다는 내용이 통계로 나타났다. 이때문에 상담센터를 사람들이 찾는 것인데 가격이 만만치는 않다. 물론 가격이 높은 이.. 2022. 3. 24.
[사이드 프로젝트 앱개발, 정부지원 창업 사업계획서 작성법] 2021년 한국콘텐츠진흥원 팩토리랩 참여 후기 ep.3 [개발 시작] • 개발 기간은 1달 + 2주(하자보수기간) • DB는 구글 파이어베이스와 구글 스프레드시트를 조합하여 사용 • 주마다 계획대로 개발된 apk파일을 받아 테스트 및 검수 • 마지막 주에는 테스트 케이스 작성 및 화상 회의를 통해 하나하나 체크 • 구글 개발자 계정 생성 및 등록 • 구글에서 배포한 youtube api 작동 및 성능 문제로 사설 youtube api로 교체하는 이슈가 가장 컸음 • 사설 youtube api로 교체 후 정상적으로 작동하게 됨 11. [멘토링] • 개발을 하면서 동시에 콘텐츠진흥원에서 진행하는 프로그램에 참여 • 비대면으로 다양한 멘토링과 네트워킹 진행 • 온라인 직무 교육업체 부대표님과 멘토링 진행 • B2B기업이기때문에 B2C만 생각했던 비즈니스를 B2B로.. 2022. 3. 22.
[사이드 프로젝트 앱개발, 정부지원 창업 사업계획서 작성법] 2021년 한국콘텐츠진흥원 팩토리랩 참여 후기 ep.2 6. [면접 합격 후 프로그램 참여] • 프로그램 참여에 앞서 다시 한국콘텐츠진흥원에 방문 • 담당 운영진들과 면접(?)을 통해 어떤 결과물을 도출할지 결정 • 나는 한국어 학습앱을 만들 예정이기 때문에 MVP버전의 앱 개발을 하겠다고 정함 7. [한국어 학습앱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 진행(MVP버전)] • 지원금이 세금포함 500만원이기때문에 내가 기획한 앱을 개발하기에는 턱없이 부족 • 지원금에 맞는 프로젝트 범위를 설정하지 못한 것이 실수였음 • 때문에 많은 기능을 생략하고 핵심기능만을 개발해 보도록 했음 • 핵심 기능은 유튜브 API를 활용해 한국어 스피킹을 학습하는 것 * 원래 기획된 기획서에서 스펙을 낮춰서 수정본을 만들었음 * 회원가입, 복습 기능 등 핵심기능 제외 * 사실 네이버에서 만든 케.. 2022. 3. 21.
728x90
반응형